티스토리 뷰
공장등록증명서 발급 방법
공장등록증명서는 공장등록이 완료된 사업장이 각종 행정기관이나 금융기관, 조달 관련 업무에 제출하기 위해 필요한 공식 증명서다. 온라인(정부24)과 오프라인(관할 시·군·구청) 모두에서 발급이 가능하다.
1. 온라인(정부24) 발급 방법
- 준비물: 공동(범용)인증서(공인인증서)
- 절차
-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한다.
-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한다.
- 검색창에 ‘공장등록증명서’를 입력하여 검색한다.
- ‘공장등록증명(자가공장·임대공장)’ 민원서비스를 선택한다.
- 신고인(대표자) 정보, 회사명, 공장 소재지 등 신청 정보를 입력한다.
- ‘공장등록정보조회’에서 검색 버튼을 눌러 공장 정보를 불러온다.
- 수령방법을 ‘온라인발급(본인출력)’ 또는 ‘방문수령’ 중 선택한다.
- 민원신청을 완료한다.
-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[문서출력] 버튼을 클릭해 즉시 공장등록증명서를 출력한다.
- 특징:
- 온라인 신청 시 수수료가 없거나 매우 저렴하다.
- 신청 후 바로 출력 가능하다.
- 대리인 명의로 온라인 신청은 불가하다(대표자 본인만 가능)
2. 오프라인(방문) 발급 방법
- 방문처: 공장 소재지 관할 시·군·구청 또는 산업단지 관리기관
- 준비물: 신분증, 필요시 위임장(대리인 신청 시)
- 절차
- 공장등록증명(신청)서를 작성한다(별지서식 8호의2).
- 접수창구에 신청서를 제출한다.
- 담당 공무원이 공장등록 여부를 확인한다.
- 즉시(근무시간 내 3시간 이내) 증명서를 발급받는다.
- 수수료: 각 지자체 조례에 따라 다름(일반적으로 1,000원 내외)
3. 발급 대상 및 조건
- 공장등록이 완료된 자가공장, 임대공장 모두 신청할 수 있다.
- 본인 또는 대리인(방문 시) 신청 가능, 온라인은 대표자 본인만 가능
- 구비서류는 별도로 없으며, 행정정보 공동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만 추가서류를 제출한다.
4. 유의사항
- 최초 공장등록이 되어 있어야 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.
- 공장등록증명서는 각종 입찰, 금융, 인증, 허가 등 다양한 행정절차에 활용된다.
- 영문증명서가 필요한 경우, 일부 지자체에서는 별도 방문 발급만 가능하다.
요약
- 온라인(정부24): 공동인증서 로그인 → ‘공장등록증명서’ 검색 및 신청 → 즉시 출력
- 오프라인: 관할 시·군·구청 방문 → 신청서 작성 및 제출 → 즉시 발급
- 수수료: 온라인 무료, 오프라인은 지자체 조례에 따름
공장등록증명서는 정부24에서 간편하게 온라인 발급이 가능하며, 방문 발급도 즉시 처리된다.